Computer Science/정보처리기사

5(2) 클라우드 컴퓨팅 , 스토리지 시스템 DAS, NAS, SAN

minjiwoo 2022. 2. 2. 17:00
728x90

1. 클라우드 컴퓨팅  :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제공하고,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 (인터넷)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이다. 구성 가능한 컴퓨터 자원에 대해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. 

1) 분류 

사설 클라우드 , 공용 클라우드, 하이브리드 클라우드

2)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 

유형 설명
인프라형 서비스 (IaaS) 서버, 스토리지 같은 시스템 자원(HW)를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
컴퓨팅 자원에 운영체제가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 탑재 및 실행
하위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어하거나 관리하지 않지만 스토리지,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제어권을 가짐
플랫폼형 서비스 (PaaS) 인프라를 생성, 관리하는 복잡함 없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, 실행, 관리할 수 있게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
SaaS의 개념을 개발 플랫폼에도 확장한 방식으로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없이 필요한 개발 요소를 웹에서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모델
OS,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호스팅 환경 구성의 제어권을 가짐
소프트웨어형 서비스 (SaaS) 소프트웨어 및 관련 데이터는 중앙에 호스팅되고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하여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서비스 
주문형 소프트웨어라고도 함 

 

3)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요소 

컴퓨팅 가상화 : 물리적으로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논리적 단위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. 서버 가상화를 통해 하나의 시스템에서 1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, 서버 이용률이 크게 향상

스토리지 가상화 :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에 소프트웨어/하드웨어 계층을 추가하여 스토리지를 논리적으로 제어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. 이기종 스토리지 시스템의 통합을 가능케 하는 기술 

I/O 가상화 : 서버와 I/O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웨어 계층. 서버의 I/O 자원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케이블과 스위치 구성을 단순화 하여 효율적인 연결을 지원

컨테이너 : 컨테이너 화 된 어플리케이션들이 단일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도록 해주는 기술 

분산처리 기술 : 여러대의 컴퓨터 계산 및 저장능력을 이용하여 커다란 계산 문제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술 

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: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양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계 장치의 가상화를 통한 가상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술 

 

2. 오픈스택 : 오픈스택은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.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와 같은 리소스들을 모으고 이들을 제어하고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이다. 

3. SDDC (Software-Defined Data Center) 개념 : 모든 하드웨어가 가상화되어 가상 자원의 Pool을 구성하고, 데이터 센터 전체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기능 및 규모에 따라 동적으로 자원 할당,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센터이다. 

1) SDDC 특징 

  • 컴퓨팅, 네트워킹, 스토리지, 관리 등을 모두 소프트웨어로 정의한다. 
  • 인력 개입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자동 제어 관리한다. 
  • 데이터 센터 내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서비스한다.

2) SDDC 구성요소 

  • SDC(Computing):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 환경으로 서버의 CPU, 메모리에 대해서 소프트웨어 명령어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 
  • SDN(Networking): 개방형 API를 통해 네트워크의 트래픽 전달 동작을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에서 제어/관리하는 가상화 네트워크 기술
  • SDS(Storage): 서버와 전통적인 스토리지 장치에 장착된 이질적이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물리적 디스크 드라이브를 하나의 논리적인 스토리지로 통합한 가상화 스토리지 기술 
  • 프로비저닝 : SDDC 자원에 대한 할당 관리 기술 

4. 인프라 관련 신기술 

도커 : 하이퍼 바이저 없이 리눅스 컨테이너 기술을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가상화 솔루션

하이퍼바이저 :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킬 수 있는 HW와 OS사이의 SW 가상화 플랫폼 

 

5. 서버장비 운영 - 저장징치 (스토리지 시스템)

1) DAS (Direct Attached Storage) 

  • 하드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 
  • 저장 장치와 호스트 기기 사이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지 않아야 하고,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
  • 장점 : 주어진 데이터 전송 성능 보장,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안전성이 우수
  • 단점 : 파일 시스템의 공유가 어렵고, 확장성/유연성이 부족하며 연결되는 서버의 수가 제한적

2) NAS (Network Attached Storage) 

  • NAS는 서버와 저장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기술 
  • 별도의 운영 체제를 가진 서버 한 곳에서 파일을 관리하기 때문에 서버 간의 스토리지 및 파일 공유가 용이하다. 
  • 저장 장치와 서버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에 접속하고, 파일 단위로 관리한다. 
  • 장점 : 이기종 간 파일 공유 가능
  • 단점 : 네트워크 대역폭을 잠식할 수 있음.

3) SAN (Storage Area Network)

  • 서버와 스토리지를 저장 장치 전용 네트워크로 상호 구성하여 고가용성, 고성능, 융통성, 확장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를 Block 단위로 관리하는 기술이다. 
  • DAS의 빠른 처리 + NAS의 스토리지 공유 방식의 장점을 합침
  • 광케이블 및 광 채널 스위치를 통해 근거리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공유가 가능함. 
  • 장점 : 무정지 확장성, 고성능, 관리 효율성 높음
  • 단점 : 고비용, 호환성 미흡 

 

728x90